본문 바로가기
정보

실업급여 계산, 어떻게 할까요?

by 뉴욕피터팬 2025. 8. 16.
반응형

실업급여 계산, 어떻게 할까요?

실업급여는 실직자의 생활 안정을 돕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고용보험의 핵심 혜택입니다. 하지만 막상 실업급여를 신청하려 하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해지죠. 실업급여는 단순히 정해진 금액을 받는 것이 아니라, 내 이전 소득과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업급여 계산의 핵심 요소

실업급여는 크게 **일액(하루에 받는 금액)**과 수급 기간으로 나뉘어 계산됩니다.

  1. 실업급여 일액: 실업급여 일액은 **퇴직 전 평균 임금의 60%**로 산정됩니다. 여기서 평균 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 지급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 계산 공식: 실업급여 일액 = 퇴직 전 평균 임금 × 60%
    다만, 아무리 소득이 높아도 실업급여 일액에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 상한액: 2024년 7월 1일 이후 이직자는 1일 66,000원입니다. (이직일에 따라 상한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하한액: 최저임금의 80%를 일액으로 보장합니다. 2024년 기준 최저임금을 바탕으로 계산하면 약 63,104원 정도가 됩니다. (매년 최저임금 변동에 따라 하한액은 달라집니다.)
    예시: 퇴직 전 평균 임금이 1일 10만 원이었다면, 실업급여 일액 = 100,000원 × 60% = 60,000원 만약 계산된 금액이 상한액(66,000원)보다 높다면 66,000원을, 하한액(약 63,104원)보다 낮다면 약 63,104원을 받게 됩니다.
  2. 실업급여 수급 기간: 실업급여를 얼마나 오래 받을 수 있는지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구직급여일수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지급됩니다.
    • 피보험 기간: 퇴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 중 보수를 지급받은 날을 모두 합한 기간입니다. 이 기간이 최소 180일 이상이어야 실업급여 수급 자격이 주어집니다.
      이직 당시 연령 (만 나이) / 피보험 기간 1년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 3년 이상 ~ 5년 미만 5년 이상 ~ 10년 미만 10년 이상
      50세 미만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2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전체 실업급여 총액 계산

이제 일액과 수급 기간을 알았으니,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의 총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총액 = 실업급여 일액 × 수급 기간

예시: 퇴직 전 평균 임금이 1일 10만 원 (실업급여 일액 60,000원)이고,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3년, 만 40세라면 수급 기간은 180일입니다.

  • 실업급여 총액 = 60,000원 × 180일 = 10,800,000원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한 팁

  • 고용보험 홈페이지 모의계산 활용: 가장 정확하고 간편한 방법은 고용보험 홈페이지(www.ei.go.kr)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퇴직 전 정보와 가입 이력을 입력하면 예상 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문의: 1350번으로 전화하면 상담사를 통해 자세한 설명을 듣고 정확한 계산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최저임금 및 상한액 변동 확인: 실업급여의 하한액과 상한액은 매년 최저임금 및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실업급여는 실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 미리 계산 방법을 알아두고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안정적인 재취업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고객상담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

반응형